교육현장, ‘포스트 코로나’, ‘제2의 팬데믹’을 대비하자

장경환 / 기사승인 : 2020-06-17 01:25:58
  • -
  • +
  • 인쇄
- 학교방역체계 재점검 등 각 분야 문제해결 위한 TF 구성 촉구 -
- 市 재난안전대책본부, 재난 컨트롤타워로 교육청과 연계강화 필요 -
<해양교통위원회 이현 의원, 287회 정례회 5분 자유발언>

 

[부산=세계타임즈 장경환 기자] 부산시의회 이현 의원(더불어민주당.부산진구4)은 16일(화) 열린 제287회 정례회 5분 자유발언에서 ‘포스트 코로나’ 및 ‘제2의 팬데믹’ 대비를 위한 교육분야의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코로나가 미치는 영향은 재정 및 공공부문, 산업부문 등 전 사회를 망라하고 있지만, 교육현장에서도 다양한 문제점과 과제가 도출되었다.

 

우선, ‘학교방역체계’에서는 부산시와 교육청 재난관리본부의 이원화 및 상시적 연계가 미흡한 문제가 도출되었다. 과거 다른 감염병의 경우는 학교단위 관리만으로도 무방하였으나, 코로나19는 ‘학교내 감염관리’와 ‘지역사회 감염관리’의 밀접한 중첩성으로 시와 교육청의 유기적 연계와 대응이 절실히 요구되는 상황이다. 학교현장에서는 매뉴얼 시행에 불합리한 요소들이 존재하고 교직원의 업무과중 호소가 극에 달하고 있다.

 

‘온라인수업’의 민낯도 여실히 드러났다. 코로나로 인한 온라인 개학은 모든 교사들이 매우 짧은 기간에 ICT를 활용하는 기술과 수업방법을 익히게 하는 놀라운 계기를 마련했지만, 교육의 혁신적 변화를 이끌었다고 말하기는 어렵다. 수업이 온라인으로 전환되었을 뿐 오히려 교실수업보다도 수동적이고 일방적인 학습 위주로 진행되었다.

 

휴교기간 중 ‘교육격차가 크게 심화’된 것도 큰 문제이다. ‘돌봄’과 ‘관리’에서 방치된 학생들이 있는 반면, 과목별 고액강사를 통한 그룹과외 사례 등 사교육을 마음껏 받을 수 있는 기회로 여기는 학부모도 많았다.

 

이 외에도 ‘디지털기기 부작용 문제’, ‘학생정신건강정책’, ‘교사와 학부모의 역할 변화’, ‘청소년 여가 문화’ 등 코로나가 우리에게 던진 과제들은 방대한 분야를 망라하고 있다

 

이 의원은 지난 9일(화) 변성완 시장권한대행과 김석준 교육감이 발표한 ‘코로나19 공동대응체계 구축 및 포스트코로나 대응을 위한 공동선언’의 후속조치로 ‘학교방역체계 재점검’ 및 교육현장의 각 분야의 문제해결을 위한 분과위원회 기반의 ‘포스트코로나 대응을 위한 TF’ 구성을 제안했다.

 

또한, 부산시 재난안전대책본부는 지역내 사회재난 총괄조직으로서, 시본청 조직을 넘어 △구.군 및 교육청 본부와의 상시 연계, △상황별.위기단계별 유기적 협력을 위한 제도 마련 등 역할 강화를 촉구했다.

 

이 의원은 “올 가을 코로나가 재창궐할 것이라는 전망이 있고, 또 다른 팬데믹을 대비해야 할 때”라며 “아이들에게 평범한 일상을 되돌려줄 수 있도록 부산시와 교육청이 전방위적 대응책 마련에 적극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광주세계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세계타임즈 구독자 여러분 세계타임즈에서 운영하고 있는 세계타임즈몰 입니다.
※ 세계타임즈몰에서 소사장이 되어서 세계타임즈와 동반성장할 수 있도록 합시다.
※ 구독자 여러분의 후원과 구독이 세계타임즈 지면제작과 방송제작에 큰 도움이 됩니다

세계타임즈 후원 ARS 정기회원가입 : 1877-0362

세계타임즈 계좌후원 하나은행 : 132-910028-40404

이 기사를 후원합니다.

※ 구독자 여러분의 후원과 구독이 세계타임즈 지면제작과 방송제작에 큰 도움이 됩니다.

세계타임즈 후원 ARS 정기회원가입 : 1877-0362

세계타임즈 계좌후원 하나은행 : 132-910028-40404

후원하기
뉴스댓글 >